분류 시뮬레이션

Re: [과제]시뮬레이션 과제 - 대기행렬

컨텐츠 정보

본문

출처: 관련링크 표시



☞2019년 과제 - 종료시간 기준 


  Q  단일창구 대기행렬에서 결과표 계산, 종료시간은 5번 고객의 도착시간(20)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TIME ARRIVAL QUEUE TPUMP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000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0

 001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0

 002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0

 003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0

 004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0

 005      1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4

 006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3

 007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2

 008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1

 009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0

 010      1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 5

 011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4

 012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3

 013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2

 014      1          1        1

 015      1          1        2

 016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1        1

 017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 3

 018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2

 019      0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 1

 020      1          0        4





결과분석표

고객

도착시간

도착간격

봉사시간

출발시간

대기시간

1

5

5-0=5

4

9

0

2

10

10-5=5

5

10+5=15

0

3

14

14-10=4

2

15+2=17

15-14=1

4

15

15-14=1

3

 17+3=20  

17-15=2

5

20

20-15=5

4

20+4=24

20-20=0

대기시간 합계

1+2=3





▶ 결과분석표 계산 방법


위 결과에서

ARRIVAL 이 1 인 경우가  고객의 도착을 나타냅니다. 따라서  빨간색으로 1 이라고 표시한 곳의 시간이 고객의 도착시간이 되므로   5,10,14,15,20  입니다.  


TPUMP 가  봉사시간이므로 파란색으로  음영 표시한 것이 각각  고객의 봉사시간이 됩니다.

따라서 고객의 봉사시간은  4,5,2,3,4  입니다.  


Q  (질문) 대기시간이 음수가 나오는  경우

질문)

 

워크북의  '응용문제'를 통해 계산을 하면 2번 고객의 대기시간이 -1초(9-10=-1) 나옵니다.

대기시간에서 음수가 발생하는것이 대기 시간이 없었다는 것일텐데 표기를 0 , -1 어떤것으로

하여야하는지요?

 

답변)  10분에 도착한 고객은 봉사창구가 비어 있으므로 대기시간 = 0 입니다.

그리고 출발시간은 10 + 5 = 15 가 됩니다.

 

대기시간이란 기다리는 시간입니다. 따라서 봉사창구가 모두 busy 인 상태에서만 발생합니다.

워크북의 경우는 봉사창구가 busy 상태인 경우죠.

즉, 도착 했는데 비어 있는 봉사창구가 없는 경우여서 대기시간을 계산한 겁니다.

 

 평균대기시간 및 평균대기행렬길이를 계산하면 다음과 같습니다. 

 

시뮬레이션 시간 = 20,  총고객수=5

평균대기행렬의 길이 = 총대기시간/시뮬레이션시간=3/20

평균대기시간          = 총대기시간/총고객수=3/5 
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Total 19 / 1 Page
번호
제목
이름

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 과학과 단톡

https://open.kakao.com/o/gSLabj6

최근글


새댓글


알림 0